의학용어 EMR(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정의
제약사나 임상, 병원관련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EMR이라는 용어를 가장 많이 들으실 것 같아요.
EMR이 도대체 뭔지 어렵게 생각하시는 경우들이 많은데 오늘 그 정의와 간단한 사용법들을 설명해드릴게요.
EMR을 검색 포털에 검색하다보면 원하는 것과 전혀 다른 의미의 같은 약자를 가진 내시경하 점막 절제술이라는 용어가 있어 검색이 힘드실 것 같아 이 글을 써봅니다.
EMR이란, Electronic Medical Record의 약어로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이라고 설명을 드리면 생소하신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요. 과거 병원에서 종이에 차트를 작성하던 것을 컴퓨터 시스템으로 입력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
과거 종이차트를 사용할 때는 필기체 등 알아보기 힘든 차팅으로 분실과 해석오류의 위험성이 있었는데요.
또한, 아날로그 방식의 종이차트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하여 같은 병원의 다른 과에서 열람하기가 쉽지 않아 협진 시 조금 더 정확한 환자파악을 하기가 힘들었습니다.
또한, 종이차트는 시간이 지나면 부식되거나 화재나 홍수 등 자연재해로부터의 보호 능력이 매우 약하여, 장기 보존에 불리합니다. 장기 보존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계속되는 환자의 방문에 대한 의무기록을 감당해내기에는 보관 공간이 많이 필요하여 효율적인 공간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EMR(전자의무기록시스템)이란 방식이 도입되며 하기와 같은 정보들을 한 번에 열람하는 것이 쉬워졌습니다.
- 응급실 기록
- 환자 투약기록
- 간호부 기록(활력징후 등)
- 수술기록
- 마취기록
- 외래기록
- 검사결과
아직도 일부 병원들에서는 종이 차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거의 대부분의 종합병원 및 신생 병원들의 경우 EMR 전자의무기록 사용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종이차트와 EMR의 과도기를 거치며 기존 사용되던 종이차트 중 일부가 EMR시스템 상에 스캔되어 업로드 되었으며 때문에 아직까지는 EMR에 두 종류의 문서가 혼재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더 나아가 의학용어 EMR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좋은 점은 종이 차트를 사용하는 시기에는 각 병원에서 어떠한 처방을 내렸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약물 오남용이나 병용금기약물의 처방이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서로 서버에 업로드 하여 실시간으로 병용금기약물을 확인하기 때문에 환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오늘은 의학용어 EMR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
다음에도 도움되는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Bio and Nurs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브버그_벌레에 물렸을 때 간호 (0) | 2023.06.22 |
---|---|
흉부외과 의학용어 50개 정리 (0) | 2023.06.21 |
슬픈 젖꾹지 증후군 (0) | 2023.06.21 |
TMF(Trial Master File)이란? (0) | 2023.06.21 |
산소요법 네뷸라이저 (0) | 2023.06.18 |